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신혼부부 증여세 3억까지 면제받는 법|혼인증여공제 최신 적용법

by 인포비_ 2025. 7. 15.

신혼부부 증여세 3억까지 면제받는 법|혼인증여공제 최신 적용법

결혼 준비를 하다 보면 부모님께서 신혼집 자금이나 혼수 비용을 도와주시는 경우가 많습니다.
그런데 “이거 다 받으면 세금 내야 하나요?” 하고 걱정되는 분들, 정말 많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신혼부부가 부모님에게 받은 돈이 ‘증여’로 간주되는 기준증여세를 피할 수 있는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 

목차

 

1.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까?

  • 혼인·출산 공제: 최대 1억 원 (2번 글 조건 만족 시)
  • 기본 공제: 추가로 5,000만 원 (10년 기준)
     총합 1억 5,000만 원까지 증여세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.

예비부부 내지는 신혼부부는 남편·아내 각각 부모로부터 받을 수 있으므로, 부부 합산 최대 3억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

2. 누구에게 어떻게 적용되나?

  • 적용 대상: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이내, 또는 자녀 출생·입양신고일 후 2년 이내 증여받은 금액이 대상입니다.(전생애 1억까지 가능)
  • 증여자 범위: 부모뿐 아니라 조부모도 포함되며, 조부모와 부모 중복 공제는 불가능합니다.

 

 

 

3. 주의할 점들

  • 공제는 혼인 또는 출산 한 가지 경우만 인정 - 중복 불가. 둘 다 있을 경우 하나만 적용됩니다.
  • 혼인증여는 혼인신고일 전후 2년 안이어야 합니다. - 결혼식 일자는 무관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출산/입양증여는 자녀 출생·입양신고일 후 2년 안이어야 합니다. - 신고일 이전 2년은 인정이 불가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
  • 파혼/이혼 시 -  파혼 후 3개월 이내 반환하면 공제 취소, 반환하지 않으면 수정신고해야 합니다. 이혼 후도 일단 공제는 유지됩니다.
  • 증여세 신고는 3개월 이내 - 기한 넘기면 가산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 

4. 공제 제대로 받는 꿀팁

  1. 혼인신고 날짜 기준으로 혼인 전후 2년 이내 증여 계획 세팅
  2. 증빙자료 준비: 혼인관계증명서, 예식장 계약서 등 입증 자료 필수
  3. 부모 또는 조부모와 협의해 증여 순서 계획 (공제 낭비 방지)
  4. 증여세 신고 반드시 잊지않기: 혼인 날 기준 3개월 내 신고

 

 

아래 링크를 통해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영상으로 정리된 내용 확인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반응형